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나노·신소재공학부 세라믹공학전공
다차원 나노소재 설계 및 에너지 디바이스 적용
055-772-1685
Bldg. #402, Room No.108
에너지나노재료연구실에서는 고효율 에너지 저장 및 활용을 위해 다차원 나노소재설계, 미래형 에너지 디바이스 적용 및 실시간 열화 분석으로 구성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원료설계, 공정개발, 거동해석에 입각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IT용 전자기기, 전기자동차를 비롯한 미래 에너지 산업용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원천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폴리설파이드 억제 및 흡착 유도를 위한 유황 양극 제어 기술
알칼리금속 전극 표면 덴드라이트 형성 억제를 위한 전이금속 합금 후보군 조성 설계
형태학적 제어를 통해 제작된 고성능 양극 및 음극 소재의 공정 최적화
고전압용 다중이온 전달통로 신규 전해질 탐색 및 조성설계
고전압용 전해질 원료분말의 최적 입도제어 및 합성기술 및 계면 제어기술 개발
원료특성-적용공정 상관관계 도출 및 공정 최적화
저온 교류임피던스 이용한 벌크-계면 독립평가기술 개발
고분해능 방사광 XRD를 이용한 실시간 정밀소재 분석법 개발
Multidimensional nano-material design and energy device application
055-772-1685
Bldg. #402, Room No.108
Nanomaterials & Energy Device Lab is conducting convergence research consisting of multidimensional nanomaterial design, future energy device application, and real-time deterioration analysis for high-efficiency energy storage and utilization. Based on electrochemical principal methodology, we intend to develop original technologies for application to energy storage systems for the future energy industry including electronic devices for IT and electric vehicles.
Sulfur cathode control technology for synergistic polysulfide suppression and adsorption
Design of transition metal alloy candidates to suppress surface dendrites on the alkali-metal
Process optimization of high-performance electrodes fabricated via morphological modification
Exploration and composition design of new electrolyte for high voltage multi-ion delivery passage
Synthesis technology for high voltage electrolyte and optimization of interface control technology
Deduc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applied process
Bulk-interface independent evaluation technology using low-temperature AC impedance
Real-time precision material analysis method using high-resolution radiation XRD